티스토리 뷰
새싹따릉이와 QR형 따릉이는 기존과 다를까?
이번 시간에는 따릉이를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한 정보를 준비해보았습니다. 혹시 따릉이를 이용해보신 분이라면, 따릉이 대여소(혹은 정류소)마다 세워진 자전거들의 모양이 천차만별이라는 걸 느껴보셨을 것 같습니다. 어떤 자전거의 경우 모양이 조금 다르고, 심지어는 전체적인 자전거의 크기마저 완전히 다른 형태인데요.
따릉이 어플을 보면, 자전거의 종류는 일반, 혹은 새싹이라는 두 가지 분류로 나뉩니다. 그런데, 실제로 우리가 마주하는 따릉이 자전거의 모양은 꽤나 다양한데요! 이번 시간에는 먼저 이 새싹 버전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QR형 뉴따릉이부터 LCD형 까지, 다양한 형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글의 목차 (Contents)
1. 새싹 따릉이는?
2. QR형 뉴 따릉이
3. LCD형 따릉이는?
4. 따릉이 제조사는?
새싹 따릉이는?
먼저, 이름부터 파릇파릇한 새싹 따릉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얘기부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기존의 따릉이 자전거는 LCD형 따르잉와 QR형 따릉이다른 두 가지 종류 구분만 있었습니다. 이는 일반인들을 위한 평범한 자전거였는데요. 여기에 더해, 2020년부터 서울시에서는 청소년이나 어린이, 그리고 체형이 작은 성인들이 타기 편한 새싹따릉이라는 새로운 형태를 추가하였습니다.
새로이 출시된 새싹따릉이는 자전거의 크기가 기존 형태보다 확실히 작은데요. 무게의 경우는 기존의 자전거들보다 2kg정도 작아졌기에 큰 체감이 가는 것은 아니지만 자전거 휠 크기부터 4인치가 작고 안장 또한 더 아래에 있어서 체형이 작으신 분들도 불편하지 않게 이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이용 연령 또한 이와 발맞추어 낮춰지게 되었는데요. 새싹 따릉이가 도입됨에 따라 따릉이 대한 이용 연령을 원래 만 15세였던 것에서 만 13세로 낮춰서 서울 시민의 더 충분하고 많은 활용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죠.
이 새싹따릉이는, 사실 한 고등학생이 어린이도 탈 수 있는 따릉이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낸 아이디어가 체택된 결과라고 하는데요. 실제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체형이 작은 분들도 무리없이 탈 수 있는 자전거가 생겼다는 점에서는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그 수요에 비해 양이 너무 많은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비중이 작지 않은 것 같더라구요..!
기존 따릉이의 종류
QR형 뉴따릉이
다음으로는 QR형 뉴따릉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EW라는 이름에서부터 예측 가능하시겠지만, 이 따릉이 자전거는 마찬가지로 위의 새싹과 함께 2020년부터 새로 도입되기 시작한 형태의 따릉이입니다. 기존의 자전거와 달리, QR형의 경우에는 QR코드만 입력해도 대여소에서의 대여와 반납이 가능하게 설계된 버전인데요.
이 형태의 자전거의 경우에는 QR코드를 통해 대여와 반납이 가능하고, 또한 자전거 내에 블루투스 인식기가 있기 때문에 QR코드 위에 적혀진 고유번호를 입력해도 핸드폰과 자전거내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바탕으로 잠금의 해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훨씬 스마트해진 자전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자전거의 자체적인 성능이라는 부분에 있어서도 QR형 뉴따릉이의 경우 안장이 훨씬 부드러워졌고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도 후크를 사용하지 않는 일체형으로 4단계까지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훨씬 개선된 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마찬가지로 실제 사용하는 입장에서의 생각을 말씀드리자면..기존의 자전거는 자전거 안장 조절을 위해 후크를 사용한다는 부분이 불편하긴 했지만, 그래도 한 번 조절을 하면 그 안장의 높이가 잘 고정이 되었었는데 이번 버전의 경우에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해서 그런지 안장의 높낮이가 너무 쉽게 바뀌어지는 고장?이 나는 자전거가 많아 오히려 더 불편한 감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기존의 LCD형 따릉이
그렇다면, 기존의 따릉이는 어떤 형태였을까요? 우선 기존의 따릉이의 구조의 경우, 일신 버전과의 차이는 윗 챕터에서 말씀드렸기에 생략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한 가지만 덧 붙이자면 자전거의 전체적인 프레임에 있어서 안정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아치형태의 프레임이 추가된 것이 뉴버전, 그렇지 않은 것이 기존 따릉이라 할 수 있습니다.
LCD형 따릉이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자전거 내에 LCD화면과 카드 단말기가 존재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요즈음 버전의 경우 QR코드와 블루투스 인식을 바탕으로 대여와 반납이 가능했지만, 기존 버전의 경우 카드를 태깅해서 자전거를 사용하게끔 했었는데요. 카드 등록부터 시작해서 워낙 불편한 점이 많았기에 위 챕터와 같은 QR형 따릉이가 출시되게 된 것이죠.
요즘에는 기존의 LCD형 자전거들을 QR형으로 개조되기에 흔히 볼 수 없는 형태의 따릉이이기도 합니다.
따릉이의 제조사와 가격
마지막으로는 따릉이에 대한 제조사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따릉이 자전거 사업은 서울특별시에서 본격적으로 추진한 공공 자전거 서비스 사업이지만, 시에서 자체적으로 자전거까지 만들 수는 없겠죠? 이에 따라 제조사는 따로 존재하는데요.
따릉이는 알톤스포츠와 삼천리자전거라고 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전거 회사들에 맡겨서 제작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오늘의 주제이기도 했던 새싹따릉이는 다만 100& 전량이 알톤스포츠에서 제작된 자전거라고 하고요.
그렇다면 그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생각보다 자전거 자체의 가격은 비싸지 않은 편입니다. 일반적인 자전거 자체의 가격은 30만원 중반대라고 하는데요. 다만, 여기에 따릉이의 경우에는 공유자전거로써 시민들이 핸드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여와 반납을 이어나가는 시스템이기에 이를 위한 장비를 제작하고 부착하는데 드는 비용이 50만원 정도라고 합니다. 이를 종합하면 대략 80만원 후반대의 가격이 따릉이 한 대당 가격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죠!
이상으로 오늘은 따릉이의 종류인 새싹과 QR형 뉴에 대해 말씀을 드려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는 기존의 자전거에 대해 말씀드리고 마지막으로는이 자전거를 만드는 제조사와 그 가격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요즈음 이 자전거 시스템에 비해 적자라는 뉴스가 많이 나오는 것 같은데..애초에 이 서비스 자체가 수익성을 보다는 시민 복지를 위해 만들어진 것인 만큼 갑자기 없어지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이를 위해 우리 사용자들 또한 책임 의식을 갖고 소중하게 자전거를 이용해야하는 것은 필수이고요!
다른 재밌는 글 읽어보기
2022.07.30 - [생활 꿀팁] - 따릉이 1시간권과 2시간권의 차이 및 임시잠금 기능
따릉이 1시간권과 2시간권의 차이 및 임시잠금 기능
따릉이가 가지고 있는 유용한 기능들! 오늘 글에서는, 여러분께서는 모르셨을 수도 있는 따릉이의 유용한 기능들에 대해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서울에 사시는 분이라면 지하철이나 버스 정
honeytipagit.tistory.com
2021.07.24 - [생활 꿀팁/할인, 혜택, 돈 관련 꿀팁] - 카카오 바이크 완벽 가이드! 요금 변경과 사용법까지
카카오 바이크 완벽 가이드! 요금 변경과 사용법까지
카카오 바이크 얼마일까요? 이번 시간에는 많은 분들께서 사용하시는 공유 자전거, 카카오바이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아주 예전부터 우리 나라에는 따릉이라고 해서 공유 자전거가 존재
honeytipagit.tistory.com
2021.06.12 - [생활 꿀팁/이슈, 상식 꿀팁] - 전동 킥보드 헬멧 미착용 벌금은 얼마일까? 이용자라면 반드시 확인하세요
전동 킥보드 헬멧 미착용 벌금은 얼마일까? 이용자라면 반드시 확인하세요
전동 킥보드 관련 법규의 최신 버전 이번 시간에는 전동 킥보드의 관련 법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유 경제라는 개념이 강조되면서 beam을 비롯해서 정말 다양한 브랜드의 전동 킥보
honeytipagit.tistory.com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차이는 무엇일까? 당당치킨 판매 여부 (0) | 2022.08.16 |
---|---|
기상청 초단기 예측 예보 - 강수 정확도 반드시 확인하세요 (0) | 2022.08.16 |
서울 반려견 순찰대 신청 방법! 보상이나 혜택은? (0) | 2022.08.09 |
에어컨 열대야 취침 모드란? 전기세에 끼치는 영향과 특징 (1) | 2022.08.05 |
따릉이 1시간권과 2시간권의 차이 및 임시잠금 기능 (1)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