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 계산하기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은 너무 다르다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회 초년생 분들이나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회사의 공고나 정보를 보면서 가장 중요하게 체크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이 월급에 대한 부분인데요.
그러나 공고에 나왔던 월급 정보가 실제 내 통장에 찍히는 돈이랑은 너무나 차이가 많이 나서 당황하거나 후회하는 사례들이 종종 있습니다. 같은 돈일텐데 왜 이런 차이가 날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의 차이와 계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의 차이
세전 월급과 다른 이유는?
사실 거의 대부분의 여러분께서는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이 이렇게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히 세금 때문인데요. 내가 일을 하고 얻는 돈에서까지 세금을 뗀다는 것이 조금 아쉽고 안타까울 수 있겠지만, 이는 바로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소득세라는 개념 때문이랍니다.
소득세란 개인의 소득에 대해 부담하는 조세를 의미합니다. 개인소득세는 이론적으로 열거된 계속적, 반복적 소득에 과세하는 소득원천설에 기반하여 부과됩니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받아들일 경우, 모든 수익에 대해서 "임시적인 소득일 뿐"이라는 주장을 한다거나 투기나 도박, 조세회피가 오히려 세금을 적용받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가량 순자산증가설을 채용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에 따라 엄밀히 따지면 슬롯머신으로 번 돈도, 로또나 경마를 해서 딴 돈도, 심지어 뇌물도 소득으로 보고 과세의 대상이 된다고 합니다.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을 가르는 기준
세율 알아보기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을 가르는 기준이 되는 우리나라의 세율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에 대한 세금인 소득에 대해서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누진세율을 적용해서 세금을 부과한다고 해요.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누진세라는 것은 내야 하는 금액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서 적용이 되는 세금의 퍼센티지 또한 급격하게 상승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부자일수록 훨씬 많은 세금을 내는 이유도 바로 재산세가 누진세율을 적용받기 때문이에요.
어찌 되었던, 우리나라의 경우 소득세 또한 누진세율을 적용받기에, 우리가 받는 세전 월급에 소득세를 적용한 값인 세후 월급 또한 구간별로 큰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소득세율은 크게 일곱 구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첫번째 구간은 연 소득이 1,200만원 이하일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6%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한편, 1,200만원부터 4,600만원까지의 경우에는 15%의 세금이 적용이 됩니다.
다음으로 4,600만원부터 8,800만원은 24%의 세금이 적용됩니다.
8,800만원부터 1억 5,000만원 미만은 35%의 세금이 적용되며, 다음 구간인 1억 5,000만원부터 3억원 이하는 38%, 3억원부터 5억원 밑은 40%이며, 그 이상은 42%의 세금이 적용됩니다.
공평한 세전과 세후 월급을 위한 방법
누진공제의 적용
그러나 위의 경우 한 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만약 내 세전 월급이 쌓인 연 소득이 1,201만원이라면 나는 만 원 밖에 더 벌지 못하는데 세후 월급은 훨씬 많이 떼이게 되는 것인데요. 이것을 막기 위한 방법이 바로 누진공제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누진 공제는 두번째 구간부터 각 구간별로 각각 108만원, 522만원, 1,490만원, 1,940만원, 2,540만원, 3,540만원이 적용이 되는데요. 예를 들자면 내 소득이 1,201만원일 경우 나에게 부과되는 세금은 15%인 180만원입니다. 하지만 두 번째 구간부터는 누진 공제가 적용이 됩니다. 즉 자신의 세율에다가 각각 정해진 돈을 공제해줌으로써 1,200만원과 1,201만원과 같은 간격의 억울함을 막아주는 것이죠.
앞서 예시를 들었던 1,201만원의 경우 180만원에다가 누진 공제 108만원을 제외하면 72만원의 세금으로써 1,200만원일 때의 6%인 72만원과 동일한 금액을 세금으로 내게 되는 것이죠.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 계산하기
간단한 방법도 있어요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을 계산하는 방법을 체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제가 말씀드린 위의 계산 방법을 바탕으로 내 세전 연봉을 찾으신 뒤, 이에 맞는 구간으로써 월급을 계산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계산기를 많이 쓰여야 하는 절차인데요.
왜냐하면 월급에는 단순히 소득세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요양보험, 고용보험 등 적용이 되는 수많은 조건들이 붙기 때문이에요.
그렇기에 이번 시간에는 훨씬 간단한 방법을 통해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을 계산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방법은 바로 실수령액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실수령액 계산기는 각 포탈 사이트에 검색창에 실수령액 계산기라는 키워드를 치시면 등장을 하는데요. 여러분이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다음이나 네이버 모두 그 인터페이스는 약간 다를 수 있지만 동일한 방식의 계산기를 제공해주고 있답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각자 취향에 맞으시게끔 두 링크를 모두 걸어놓았으니, 쉽게 사용이 가능하실꺼에요.
이상으로 오늘은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았답니다!
다른글도 읽어보기
2022.07.15 - [생활 꿀팁/할인, 혜택, 돈 관련 꿀팁] - 이제는 갚즈아의 시대? 가즈아의 유래와 금리인상
2022.07.10 - [생활 꿀팁/운동 , 건강 꿀팁] - 유산균과 변비에 대한 진실, 섭취 방법
2021.06.14 - [생활 꿀팁/이슈, 상식 꿀팁] - 말티즈 분양 가격 평균적으로는 얼마일까요?
'생활 꿀팁 > 할인, 혜택, 돈 관련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상품권 사용처 총정리 (0) | 2020.09.23 |
---|---|
카카오페이 알 모으기 방법 (0) | 2020.09.04 |
쏘카패스 혜택 총정리와 단점까지 (0) | 2020.08.25 |
알뜰폰 요금제 현명하게 사용하는 방법 (0) | 2020.08.22 |
쿠팡이츠 7,000원 할인 쿠폰 (0) | 202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