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재계 서열 순위 2020년 기준

누가 누가 1등일까?


안녕하세요? 이번 꿀팁 아지트에서는 재계 서열의 순위를 주제로, 글 작성 시점인 202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대기업들은 어떤 순서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해요. 여러분은 대기업에 순위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당연히 회사의 매출이나 규모에 따라 순위가 매겨질 수는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단순히 수치상의 순위가 아니라,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의전이 바뀐다는 사실도 알고 계셨나요? 그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이 재계 서열의 순위인데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재계 서열 순위의 기준

 


먼저, 재계 서열 순위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부터 알아보려고 합니다. 재계 서열의 순위라는 것은 공정거래위원회가 매년 발표하는 재계순위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대통령과 재계총수들의 간담회 때 이 순서대로 의전이 진행되는 것이 원칙인데요. 그렇기에 기업에 있어서는 하나의 위신? 상징? 적인 의미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오늘 알아보고 있는 재계 서열에 대한 순위입니다.

물론 이 같은 순위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아무래도 연령을 중요시여기는 우리나라 정서상 총수들의 연령 순서를 비롯하여 대통령과 총수들간의 친교관계, 그리고 국가의 전략적인 방침에 따라 뒤죽박죽으로 의전이 시행되기는 해요.

재계서열 순위 개념의 변화


사실 재계순위라는 것은 곧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만을 의미했었다고 해요. 하지만 기존의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의 기준을 재산 10조원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한편, 5조~10조 사이의 기업집단을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집단)으로 새로이 지정하면서 두 유형의 기업집단이 존재하게 되었는데요. 

사실 대기업은 법적으로 엄밀하게 정의된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5조 이상의 기업집단을 대기업으로 취급하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조금 더 깔끔해질 것 같습니다.

 

재계서열 순위의 단점


사실 재계서열의 순위는 사실 20위까지는 그래도 격차가 적지 않은 편이지만 21~60위권은 다수의 도토리 키재기 수준이라고 해요. 아무래도 명예를 중요시하는 우리나라 정서상, 그리고 순위 가르기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의 마음에 따라 한, 두 계단 차이에 총수는 물론 직원까지도 매우 민감히 반응하는 경우가 잦다고 하는데요. 

그러나, 이러한 재계 서열 순위가 변화하는 것이 무조건 좋은 것은 절대 아닙니다. 만약 내 회사의 순위가 30위권안에 들 경우, 정부에서는 다양한 규제를 가하기 때문인데요. 아무래도 주식시장을 비롯해서 독과점을 막고자하는 정부의 규제와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 이 해당 기업들인만큼 주식 시장에서는 30위권 이내의 기업으로 드는 것을 악재로 취급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2020년 기준 재계 서열 순위 (선두부터 10위)


그렇다면 지금부터 2020년 기준, 재계 서열 순위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이 순위는 계열 회사수가 아닌, 자산 총액을 기준으로 선정이 된 순서라고 하더라고요.

1위는 많은 분들이 예상하셨듯 삼성입니다. 삼성그룹의 자산 총액은 424.9조원이라고 하는데요. 2위인 현대자동차의 경우 자산 총액이 234.7조원이라고 하니, 제일 위와 그 다음 회사간의 차이가 벌써 200조원 가까이 난다는 점에서 얼마나 삼성이 우리나라에서 압도적인 위치에 있는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2위는 윗 단락에서 간략히 언급했지만, 234.7조원의 현대자동차입니다. 현대같은 경우에는 그룹이 분화가 많이 되었는데요. 물론 삼성 또한 범 삼성계라고 해서 그룹 분화가 많이 되었지만, 현대 같은 경우에는 분화된 그룹마다 다 명칭에 현대는 들어가서인지 더욱 새삼스럽게 느껴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3위부터의 순서는 조금 빠르게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3위는 SK그룹인데요. 대표자는 최태원회장이며 자산 총액은 225.5조원으로 현대차와는 9조원 가량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4위는 LG그룹이며 이 순위부터는 조금 규모가 확 낮아지는데요. 구광모 회장의 LG그룹은 137조원의 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5위인 롯데그룹의 경우는 121.5조원이며 6위인 포스코 그룹은 80.3조원, 7위 한화는 71.7조원, 8위 GS그룹은 66.8조원이며 9위인 현대중공업과 농협은 각각 62.9조원, 60.6조원이라고 합니다.

 

2020년 기준 64개 기업집단 전체 순위

더 많은, 구체적인 순위가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서 이번 챕터에서는 전체 그룹의 순위표를 준비해보았는데요.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을 기준으로 봤을 때 하여 총 64개 기업의 순위를 알아본 표를 준비해보았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2020년 기준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을 포함한 64개 기업집단 산하의 계열사 숫자는 2,284개이고 재산총액은 2176.1조 원의 규모라고 하니, 정말로 대한민국의 경제를 떠받치고 움직이는 기업들은 이 대기업들이 거의다! 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과장은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이상으로 오늘 소개할 내용은 대한민국의 2020년 기준 재계서열에 대한 순위를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재밌는 글 읽어보기

2022.02.20 - [생활 꿀팁/이슈, 상식 꿀팁] - 씨유 보광그룹 역사와 삼성과의 관계

 

씨유 보광그룹 역사와 삼성과의 관계

보광그룹이 어디야? 이번 시간에는 최근 아모레 퍼시픽의 서민정씨가 이혼한 상대방인 남편 홍정환씨가 속한 회사인 보광그룹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아모레퍼

honeytipagit.tistory.com

2020.10.01 - [생활 꿀팁] - 삼성전자 연봉 총정리

 

삼성전자 연봉 총정리

삼성전자 연봉 얼마나 받을까? 오늘 글에서는 삼성전자 연봉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들 말하기로 고액 연봉 수령 직업으로 전문직과 함께 꼽히는 직업 중의 하나는 단연 대기업

honeytipagit.tistory.com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